본문 바로가기
육아

6+6 육아휴직 급여 계산법 완벽 정리 (2025년 기준)

by 대디's life 육아꿀팁 2025. 4. 7.

육아휴직은 부모 모두에게 주어지는 소중한 권리입니다. 특히 6+6 육아휴직 제도는 부부가 순차적으로 육아휴직을 사용할 경우, 급여 혜택이 더 커지는 제도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2025년 기준 6+6 육아휴직 급여 계산법을 간단명료하게 정리해드립니다.

6+6 육아휴직 제도란?

부부가 각각 6개월씩 순차적으로 육아휴직을 사용할 경우, 두 번째 사용자의 첫 3개월 급여를 100%로 지급하는 제도입니다.

정부는 이를 통해 공동육아를 장려하고 있습니다.

6+6 육아휴직 급여 계산 (2025년 기준)

첫 번째 사용자 (예: 엄마)

1~3개월: 통상임금의 80% (상한 150만 원)

4~6개월: 통상임금의 50% (상한 120만 원)

두 번째 사용자 (예: 아빠)

1~3개월: 통상임금의 100% (상한 300만 원)

4~6개월: 통상임금의 50% (상한 120만 원)

즉, 두 사람이 총 1년간 육아휴직을 사용할 경우, 첫 3개월×2 + 후 3개월×2로 나눠 계산하면 됩니다.

예시로 보는 육아휴직 급여
(부부 월급: 각각 300만 원인 경우)

단, 상한선 적용에 따라 일부 조정될 수 있습니다. 실제 지급액은 통상임금과 상한 기준에 따라 달라지니 참고하세요.

신청 요건 및 방법

고용보험 가입 180일 이상 근무자

자녀 만 8세 이하 또는 초등학교 2학년 이하

고용보험 홈페이지 또는 관할 고용센터 신청

매월 신청 필수, 소급신청은 최초 신청 기준 1년 이내

6+6 육아휴직의 장점

부부가 모두 육아에 참여

두 번째 사용자의 급여 인상 혜택

경력 단절 최소화 및 가족의 삶의 질 향상

결론

2025년에도 6+6 육아휴직 급여 제도는 부모 모두의 참여를 유도하며 큰 혜택을 제공합니다. 단순히 급여를 받는 것이 아니라, 가족의 시간을 지키는 제도입니다. 미리 준비하고 정확히 계산해 활용하면 더 큰 만족을 얻을 수 있습니다.

공동육아, 혜택도 두 배! 지금 바로 계획을 세워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