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이의 언어는 생후 1~3세 사이에 급속히 발달합니다. 특히 만 3세는 문장을 사용하고 대화를 시도하는 중요한 시기입니다. 하지만 또래에 비해 말이 늦거나 표현이 부족하다면, 부모로서 걱정이 될 수밖에 없습니다. 이 글에서는 3세 언어발달 지연의 기준, 원인, 체크리스트, 그리고 부모가 할 수 있는 대처 방법을 소개합니다.

3세 언어발달 지연이란?
일반적으로 만 3세 아이라면 다음과 같은 언어 능력을 보입니다:
하루 200~300개 이상의 단어 사용
3~4단어로 문장 구성
“왜?” “무엇?” 질문하기
간단한 대화 주고받기
이 기준에 비해 말수가 현저히 적거나, 문장을 만들지 못하거나, 의사소통 의지가 낮다면 ‘언어발달 지연’으로 볼 수 있습니다.

언어발달 늦음의 주요 원인
언어발달 지연에는 여러 원인이 있을 수 있습니다:
1. 단순 언어지연
지능이나 청력에 문제가 없지만 말이 느린 경우입니다. 대부분 시간이 지나며 자연스럽게 발달합니다.
2. 청력 문제
중이염, 청각장애 등으로 인해 말소리를 제대로 듣지 못해 언어 발달이 지연될 수 있습니다.
3. 발달장애
자폐스펙트럼장애(ASD), 지적장애 등 신경발달의 전반적인 지연이 언어에도 영향을 줍니다.
4. 환경적 요인
대화가 적거나, TV·영상 시청 시간이 많은 경우 언어 자극이 부족해 말이 늦어질 수 있습니다.
3세 언어지연 자가 체크리스트
아래 항목 중 2개 이상 해당된다면 전문가 상담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2~3단어 문장을 거의 사용하지 않는다
하루 사용하는 단어 수가 100개 미만이다
또래와의 상호작용이 적다
이름을 불러도 반응이 없거나 눈을 잘 맞추지 않는다
질문을 이해하지 못하거나 엉뚱한 대답을 한다
말 대신 몸짓이나 울음으로 요구를 표현한다
부모가 할 수 있는 대처법
1. 많이 말 걸어주기
아이의 관심사에 맞춰 자주 말 걸어주세요. “이거 뭐야?”처럼 질문하고, 아이의 말을 따라 반복해주는 것도 좋습니다.
2. 책 읽어주기
하루 10분이라도 반복적으로 책을 읽어주면 언어 자극에 큰 도움이 됩니다. 그림책과 말놀이 책이 효과적입니다.
3. 영상 노출 줄이기
TV, 유튜브 등은 일방적인 정보 전달로 언어 발달에 도움이 되지 않습니다. 하루 1시간 이하로 제한하는 것이 좋습니다.
4. 말보다는 상호작용 중심으로
정확한 발음보다 중요한 것은 “서로 주고받는 대화”입니다. 아이가 틀리게 말해도 고쳐주기보다는 자연스럽게 바른 표현으로 되받아 주세요.
5. 전문가 상담 고려하기
3세 이후에도 언어 발달이 현저히 늦다면, 언어치료사나 소아청소년과 전문의와 상담이 필요합니다. 조기 개입은 예후에 큰 차이를 만듭니다.

결론
3세는 언어 발달에 있어 매우 중요한 시기입니다. 늦어도 괜찮다고 방치하기보다는, 아이의 언어 수준을 꾸준히 관찰하고 필요한 자극을 제공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무엇보다 아이의 눈높이에 맞춰 따뜻하게 대화하며 기다려주는 부모의 역할이 가장 큰 힘이 됩니다.
'육아'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5년 아빠 육아휴직 장려금 대상 금액 총정리 (2) | 2025.04.25 |
---|---|
유모차 추천, 잉글레시나 나우 사용 후기 및 특징 정리 (1) | 2025.04.24 |
육아 우울증 테스트, 지금 내 마음은 괜찮을까? (3) | 2025.04.23 |
2025년 달라진 육아휴직 제도, 꼭 알아야 할 핵심 변화 (2) | 2025.04.22 |
이케아 강동점 오픈일과 육아 용품 추천! 서울에서 만나는 스웨덴 감성 육아템 (3) | 2025.04.19 |